본문 바로가기
인물이야기

"여수 거북선모형" 관람리뷰,설명과 관람료,주차비, 거북선에 대하여,이순신의 생애와 업적

by 프리디와이♡ 2022. 9. 15.
반응형

거북선 모형관 위치

거북선 모형관 위치

거북선 모형관 관람

거북선 모형관


거북선은?

거북선 모형관

고려말 조선초에 왜적을 격퇴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기록상으로는 조선초 문헌에 처음 나타난다. 임진왜란 직전에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창제귀선을 건조하여 왜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세계 최초의 돌격용 철갑전선(鐵甲戰船)으로 평가된다.

현재까지 전해오는 문헌 중에서 ‘거북선[龜船]'이라는 이름이 처음 나타나는 기록인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1413년(태종 13) 5월 초에 “왕이 임진강 나루를 지나다가 거북선이 왜선으로 꾸민 배와 싸우는 모습을 보았다”고 하였고, 2년 후에는 다시 “거북선이 매우 견고하여 적선이 해치지를 못한다”고 되어 있으나, 어떤 형태와 규모였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적혀 있지 않아서 알 길이 없다. 그 후 180여년 간 거북선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다가 이순신 장군의 임진년(1592) 일기인 《난중일기(亂中日記)》 2월 8일 기사에 “거북선에 사용할 돛 베(帆布) 29필을 받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난중일기》에 따르면 거북선에 비치한 포(砲)를 처음 발사한 날은 임진년(壬辰年:1592) 3월 27일이며, 처음 해전에 참가한 것은 장계(狀啓)에서 “5월 29일 사천해전(泗川海戰)”이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이 건조한 창제귀선(創製龜船)의 일반적인 외부의 형태와 전투력에 관해서만 기록하고 있으며, 실제 건조에 필요한 세부적인 치수에 대해서는 기록한 것이 없다. 따라서 태종 때의 거북선과 이순신이 말한 거북선과의 관계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거북선은 이순신의 고안에 의해서 군관 나대용(羅大用) 등이 실제로 건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거북선이 임진왜란 때 돌격전선으로서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전란 후에는 그 모양이 조금씩 변하여 용머리[龍頭]는 거북머리[龜頭]로 바뀌고, 치수도 일반적으로 장대(長大)해지는 등 차차 크게 건조되었는데, 1795년(정조 19)에 간행된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에 ‘전라좌수영 거북선’ 및 ‘통제영 거북선’의 그림과 함께 건조에 필요한 부분적인 치수가 어느 정도 기록되어 있다.

이순신의 생애 및 활동사항

거북선 모형관

16세기 조선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당시 조선 수군을 통솔했던 제독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구국영웅이자 세종대왕과 더불어 최고의 위인으로 손꼽히는 인물로, 국내를 넘어 전 세계를 살펴보아도 손 꼽히는 수준의 전훈을 남긴 최고의 명장 중 한 명이다.

심지어 한국인들에게 영웅을 넘어 성웅이라는 칭호로 불리는 위인은 오직 이순신 한 명 뿐이다.

일본군의 조선 침략 당시 조선의 수군 장수로 나서서 수많은 전투에서 희생이 적은 대승들을 이룩했고, 군공 이외에도 휘하 장병을 원리원칙에 기반해 철두철미하게 관리하고 상업에도 종사하여 자급자족을 이루어 군을 자립시켰으며, 왜란 이전에도 이이 등의 고위 관료와 접선을 수차례 거절하거나 축재를 하지 않았고, 현감 재임기에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푸는 등 지휘관이요 목민관으로서 매우 모범적인 관리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수많은 고난과 핍박을 겪고도 죽는 순간까지 전장을 떠나지 않은 철인의 면모까지 갖춰 조선 중기의 명장을 넘어 한국사 최고 위인의 반열까지 오른 인물이다. 저서로 난중일기가 있다.

거북선 모형관


생전부터 그를 사적으로 알고 있던 인근 백성이나 군졸, 일부 장수와 재상들에게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았고 그렇지 않더라도 명성이 제법 있었으며, 전사 소식에 많은 이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크게 슬퍼했다고 전해진다. 사후 조정은 관직을 추증했고 선비들은 찬양시(詩)를 지었으며 백성들은 추모비를 세우는 등, 이순신은 오래도록 많은 추앙을 받아왔다. 이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이순신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앞서 말했듯이 현대 한국에서 성웅이라는 최상급 수사가 이름 앞에 붙어도 어떤 이의도 제기받지 않는, 세종과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조선사 양대 위인이다. 가장 존경하는 위인을 묻는 설문조사에서도 세종대왕과 1, 2위를 다투며 충무공이라는 시호도 실제로는 김시민과 같은 여러 장수들이 함께 받은 시호이지만 현대 한국인들은 대부분 이순신의 시호로 인식한다.

이순신 장군 영정
이순신 장군 영정


1545년 한성부 건천동에서 태어나 1576년 무과에 급제하여 그해 함경도 동구비보 권관이 되었고, 1579년에는 훈련원 봉사가 되었다. 1580년에 전라도 발포 수군 만호, 1581년에 경차관 서익에 의해[18] 파직되었다가 1582년에 다시 훈련원 봉사로 복직되었고 1583년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군관, 함경도 건원보 권관을 지내다가 3년간 부친상을 치르고 1586년 함경도 조산보 만호에 임명되었으며 1587년 함경도 녹둔도 둔전관을 겸임했다. 이 해 여진족의 기습을 받아 일부 백성이 납치되고 반격으로 녹둔도 전투를 치르는 등의 일이 있었다. 이때 함경북병사 이일이 이순신과 이경록에게 경비 소홀의 책임으로 조정에 참수형을 청했고 이는 면했으나 다시 파직 및 백의종군 처분을 받았다. 그리고 1588년 시전부락 전투에서의 군공으로 복직되었다.

거북선 모형관


1589년에 전라 감사의 군관이 되었고 정읍 현감에 제수되어 백성을 다스리는 경험을 하게 되었으며 태인 현감도 겸했다. 그리고 진도 군수, 배포 첨사 임명장을 받고 1591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된다. 일찍이 일본의 침공을 예상하고 전함 건조, 무기와 군비 확충, 군사훈련 등에 힘썼다. 1592년에 일본군의 침공이 시작되었고, 옥포 해전과 합포 해전, 적진포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2차 출병 때는 사천 해전과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 율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이후 한산도 해전에 크게 승리하고 안골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두 달여 뒤에 재출병해서 부산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1593년 웅포 해전에서 승리하고 본영을 여수에서 한산도로 옮겼으며 삼도 수군 통제사로 선임되었고, 이 시기에 조총을 모방해서 총을 제조해 보기도 했다. 1594년 당항포 해전에서 승리했고 윤두수가 건의한 수륙 합동작전에 참여해서 영등포, 장문포를 쳤지만 강화 협상 중이라 일본군이 대응하지 않아서 별 성과는 없었다. 1595년에는 우수영과 둔전을 시찰하고 백성을 모아 소금을 굽고 둔전을 통한 곡식을 확보하는 등 생업에 종사했고 1596년 전염병으로 죽은 병사들을 위해 여제를 지냈다. 1597년에 원균에게 인계하고 체포되어 상경한 후 투옥되었고, 선조가 사형을 제의했으나 정탁이 변호하면서 출옥하고 두 번째 백의종군 처분을 받는다. 이후 모친상을 겪었으며 원균이 출전한 칠천량 해전에서 그간 육성해온 군과 자산을 거의 궤멸당했으나 통제사에 재임명된 후 소수 병력으로 출전한 명량 해전에서 승리했다. 이후 셋째 아들 이면이 전사했고, 1598년 조선에서 철군하는 일본군을 추격하여 노량 해전을 치르던 중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죽음을 함구하고 전투를 지속하라는 말을 남겼고 그가 죽은 뒤에 전투는 승리로 끝났으며 그와 함께 일본-조선-명이 얽힌 지옥도와 같았던 전쟁도 끝났다.

신여랑 장군 영정


몇몇 전투는 너무나 비현실적인 공적을 세워 어떻게 이뤄낸 건지 아직도 학설이 분분할 정도이다.가령 명량 해전의 초반부에서 물살이 바뀌기 전까지 약 2시간가량을 이순신은 대장선 1척으로 일본 측 함선 133척과 정면으로 붙어 하나하나 박살내고 있었다.분명히 조선 측과 일본 측의 풍부한 사료로 교차검증이 가능한 기록임에도 너무 믿어지지 않아서 사람들이 오히려 왜곡된 유사역사학자의 주장을 믿고 마는 것이다.

거북선 모형관


이처럼 도저히 말이 안 되는 전투 수행 능력이 익히 알려져 있지만 기록을 보면 전략적인 식견이 그보다 압도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당시 이순신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의 총 전력은 일본군보다 열세였지만 대부분의 전투를 수적 우위를 점한 채로 압승을 거두며 심할 때는 이러한 각개 격파가 하루 동안 5~6번이 일어나 그 전투들만으로 출정한 조선 수군의 전력을 넘어서는 일본군을 수장해버리는 일도 있었다. 기본적으로 연합 함대를 중시하여 항상 만전의 화력을 갖추고 싸우는 이순신 휘하의 조선 수군이 적보다 열세인 상황에서 전투를 벌인 때는 전력의 열세를 극복할만한 완벽한 함정을 팠거나(한산도 대첩),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정치적 이유로 출정해야 했거나(장문포 해전), 그 이상 전투를 피하면 나라가 망하는 때(명량 대첩)뿐이었다.

거북선 모형관


이순신은 함대 설계 및 훈련, 운영에도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전 국토가 전쟁의 화마로 털리는 바람에 교지를 쓰거나 기록을 남길 종이마저 부족했던 중앙 정부에게 종이를 바치기도 했다. 남해안 여러 섬에 둔전(屯田)을 만들어 식량을 자급자족했으며 어로 활동으로 군량과 군비를 충당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기피 대상이었던 수군의 병력 유지를 위해 직접 발벗고 뛰어다닌 결과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중앙 정부의 지원없이 유지했다. 이순신이 중앙 정부에 무언가를 요구했던 것은 역병으로 병사들이 죽어나갈 때 의원을 보내달라는 것과 화포를 만들 철이 부족하여 조정에 철을 조달해 줄 수 없는지에 대해서 장계를 올린 것 정도다. 원균이 5천명의 병력을 지원받고도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한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특히 자기 휘하로 피난 온 백성들을 잘 보살피고 다스려 칭송을 받으며 목민관으로서도 훌륭한 면모를 보였다. 다방면으로 뛰어난 업적과 충성심 덕에 적국이었던 일본조차 사후 연구 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거북선 모형관


이 밖에도 독보적인 정직함과 청렴함과 공정함도 현대 한국인들에게 매우 존경받는 이유 중 하나다. 이순신은 장수이자 목민관으로서 그야말로 공명정대하였는데, 백성들과 일개 병졸부터 시작해서 승려와 노비까지 하나 하나 그들의 이름과 그들이 이룩한 공을 빠짐없이 세세히 적어 장계를 올려 포상을 받게 했으며, 여차할 땐 자신의 공적을 부하들에게 돌려주는 경우도 허다했다.허나 자기 휘하 사람들을 마냥 너그럽게 대했냐고 했다면 그것도 아닌데, 훈련을 게을리 하거나 군법을 어기는 병사들을 매우 엄히 다스렸기에 조선 수군이 제일 무서워하는 것은 왜군이 아닌 이순신이었다는 평가도 있을 정도다. 고로 이순신은 당근과 채찍을 정확히 다루어 부하들을 부렸다고 할 수 있겠다.

거북선 모형관

이렇듯 이순신을 뜯어 보자면 '존경하지 않을 이유를 찾는 게 더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순신은 완벽한 인물이었고, 이러한 덕에 40여년 가까이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관람 리뷰

거북선 모형관
거북선 모형관
거북선 모형관
거북선 모형관

이순신 모형관은 거북선 내부 구조를 자세하게 볼 수 있게 해놨다. 당시에 이순신 장군 및 부하들의 생활도 엿볼 수 있어 역사공부에도 손색이 없는거 같다.
실제 물위라 흔들리기도 하지만 그만큼 더 생생한 거북선 체험을 할 수 있을거 같다.


거북선 모형관 설명과 관람료,주차비

거북선 모형관 설명과 관람료,주차비







참조 두산백과 두피디아,나무위키,여수관광문화

반응형

댓글